카테고리 없음
KPI란
셸파
2020. 4. 22. 06:05
OKR과 KPI에 대해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 이러한 이유는 조직이나 개인을 평가하는 기준을 지칭할 때, 업무 관행적으로 KPI라는 명칭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. 하지만 KPI는 평가할 때 쓰이는 개별 지표를 이야기하는 것이지 어떤 틀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.
KPI는 회사 내부에서 관리하는 모든 지표를 말하고 관리적으로 아래와 같은 분류로 구분해볼 수 있습니다.
분류기준 | 분류항목 | 예시 |
인과관계, 선후관계 | 원인지표, 결과지표 / 선행지표, 후행지표 |
원재료 가격 상승 -> 매출총이익률 |
공정에 따른 분류 | 투입/과정/산출/결과지표 | 인력,비용/시간당생산량/출고량/매출 |
지표분류 | 정량지표/정성지표 | 매출액/신제품 만족도 |
조직평가를 위한 KPI는 BSC(Balance Score Cards)관점에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.
관점 | KPI 예시 | 의의 |
재무 | 매출액, 매출원가, 매출총이익(률), 판매관리비, 영업이익(률), ROE, PER, PBR (재무제표 또는 관리회계적으로 관리하는 모든 지표) |
재무적인 성과 개선 측정 |
고객 | 고객만족도, 시장점유율, 브랜드평가, 타사 대비 가격 우위, 고객유지율, 충성도, 신규고객확보율, 고객수익성 |
고객의 관점에서 기업을 평가 |
내부프로세스 | 신제품 출시 수, 신제품 개발기간, 기계가동률, 품질수준, 원가경쟁력, 판매보증, 반품처리, 하자보수 기간 | 내부 프로세스 혁신 수준 평가 (개선, 효율, 신속성, 기타 등등) |
학습과 성장 | 직원역량 강화(종업원 교육), 정보인프라 확대, 직원만족도, 이직률 | 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학습과 성장관점의 지표 |
2~3년마다 한번씩 각 사업부의 전문가들로 TF를 구성하여 , KPI POOL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.
KPI POOL을 모아놓은 책도 시중에 있으니 KPI를 정하시는데 이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참고로 OKR에서 Key Result들은 위와 같은 KPI를 포함하기도 하지만, 성과관리 경험으로 비추어봤을 때, KPI를 1개 이상 포함하고 있어야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.